1977년 5월에 작성된 인터넷(Internet)의 전신인 아르파넷(ARPANET)의 논리 흐름도.
ARPANET은 고등연구사업국 네트워크(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Network)의 약자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세트를 사용한 첫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훗날 오늘날의 "인터넷"으로 발전한 이 네트워크 시스템은 미 국방부 산하 국방연구사업국, 통칭 아르파(ARPA)에서 구성한 시스템이다.
최초 아이디어는 컴퓨터 공학자인 J.C.R. 리클라이더(Joseph Carl Robnett Licklider, 1915~1990)와 밥 테일러(Robert W. Taylor, 1932~2017)에 의해 아르파 사업으로 출발했으며, 1966년부터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원거리에 있는 컴퓨터에 접속하는" 장거리 네트워크 시스템 프로젝트로 발주됐다.
이 사업은 아르파의 정보처리기술국(Information Processing Technique Office)이 주도했으며, 컴퓨터 공학가인 래리 로버츠(Lawrence G. Roberts, 1937~2018)가 사업 책임을 맡았다. 그는 네트워크 디자인에 관한 핵심 결정을 내렸으며, 이 디자인은 영국 국립 물리연구소(NPL)의 도널드 데이비스(Donald W. Davies, 1924~2000) 박사와 랜드(RAND) 연구소의 폴 배런(Paul Baran, 1926~2011) 박사가 설계한 패킷 스위칭(packet switching) 개념과 결합됐다.
아르파는 실제 네트워크 구축 계약을 볼트 베라넥 & 뉴먼(Bolt Beranek & Newman; 現 레이시온 BBN)사와 체결했으며, 이렇게 완성된 최초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로스앤젤레스교(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의 레너드 클레인락(Leonard Kleinrock, 1934~) 교수가 고안한 수학 방식과 접목시켜 패킷 네트워크 기술 분석에 활용했다.
이렇게 완성된 첫 장거리 네트워크 시스템은 1969년에 정식 구축을 시작하여 1970년부터 가동했으며, 시험가동을 거친 후 1971년부터 정식 운영에 들어갔다. 이후 소프트웨어 개발이 진행되면서 원거리 로그인이나 파일 전송, 이메일 등이 만들어졌고, 범용성이 커지면서 네트워크 역시 순식간에 팽창해 네트워크의 통제권은 1975년부터 미 국방통신국(US Defense Communications Agency, DISA)으로 이관됐다.
다수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넷화" 작업은 1970년대 초반부터 다르파의 밥 칸(Bob Khan, 1938~) 박사와 스탠포드 대학교의 빈트 서프(Vinton G. Cerf, 1943~) 박사의 주도로 진행됐으며, 사업이 궤도에 오르자 전부 다 다르파가 두 사업을 이어받아 하나로 합쳤다. 이 과정에서 다르파는 프랑스가 앞서 연구했던 네트워크 시스템인 시클라드(CYCLADES) 컴퓨터 네트워크 설계를 참고했다.
"인터넷화" 사업은 별도의 여러 네트워크를 네트워크로 다시 묶는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네트워크의 네트워크화"를 지향했다. 아르파넷에는 1983년 1월부터 4세대 TCP/IP가 이식됐으며, 이 시기부터 아르파넷은 미군 전군이 사용하는 보편적 컴퓨터 네트워크로 자리 잡았다.
아르파넷은 1981년 미 국립과학재단(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예산 지원으로 컴퓨터 사이언스 네트워크(CSNET) 사업이 발주하면서 다시 한 번 팽창했다. 1980년대 초부터 NSF는 미국 내 여러 대학교에 국립 슈퍼컴퓨터 센터를 설치했으며, 1986년부터는 이들을 하나로 묶는 네트워크화 사업을 개시했다.
아르파넷은 1990년, 미 국방부가 민간 통신 및 컴퓨터 산업계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사실상 도태됐으며, 이후부터 군용 망에서 민간 망으로 변환되면서 정식으로 상용화 되었다. 이에 따라 명칭 역시 아르파넷에서 오늘날 전세계 모든 이가 사용하는 "인터넷(Internet)"이 되었다.
반응형
'우주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73] 시애틀에서 전기자동차를 충전 중인 어느 신사의 모습 (0) | 2022.12.11 |
---|---|
[2006. 8. 24] 명왕성, 태양계 '행성'에서 퇴출 당하다 (0) | 2022.12.08 |
[1973] 세계 최초의 '핸드폰' 개발 - 모토롤라 다이나택 (2) | 2022.11.30 |
인류 최초로 운석을 맞고도 살아남은 여성 (0) | 2022.11.30 |
[1966. 3. 17] 참사로 끝날 뻔 했던 닐 암스트롱의 제미니(Gemini) 8호 (0) | 2022.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