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미양요(辛未洋擾, 1871년 6월1일~7월 3일)와 관련된 미국 쪽의 이야기.
잘 알다시피 제네럴 셔먼(SS General Sherman) 호가 조선에서 "격침" 당하자 미국은 존 로저스(John Rogers, 1812~1882) 제독이 지휘하는 '로저스 전대' 기함인 콜로라도(USS Colorado) 함을 한반도에 급파해 조사를 명령했고, 조선 정부가 협조에 거부하자 공격을 개시해 어재연(魚在淵, 1823~1871) 장군이 이끄는 강화도 수비대와 격돌했다. 이 때 찰스 브라운(Charles Brown) 상병(해병)은 공세 세력에 포함되어 조선군과 격돌, 어재연 장군의 장군기를 뺏는데 성공했다. 이날 전투는 15분간 지속됐으며, 조선군은 어재연 장군을 포함하여 240명이 전사하고 미군은 3명이 전사(그나마도 우군사격과 실족으로 각 1명 사망)했다.
미 정부는 해외 영토에서 벌어진 공적으로 이날 전투에 참가한 9명의 해군 수병과 6명의 해병에게 명예 대훈장을 상신했으며, 여기에는 찰스 브라운 상병도 포함이 되어 있었다.
하지만 그는 미 해병 사상 처음 명예 대훈장을 수여받는 영광을 누리지 못했다. 훈장 수여가 상신되어 승인되기 전 군을 떠났기 때문이다. 그는 전투 4개월 뒤인 1871년 10월에 군을 떠났는데, 이후 훈장 수여가 승인됐음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행적이 추적되지 않아 영영 실제 수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심지어 그가 자신의 훈장 상신이나 승인 사실을 알았는지도 불분명하다.
참고로 해당 장군기는 콜로라도 함이 전리품으로 수거하여 미국으로 가지고 귀환했으며, 이후 내내 미 해군사관학교에 전시품으로 전시하다가 2007년, 10년 장기 대여 형태로 한국에 돌아왔다. 하지만 중간에 대여기간이 늘어나 2020년까지 강화 역사박물관에 전시했으나, 대여기간이 끝나 현재는 단기 임대로 계속 대여기간을 연장 중이다.
'근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68] 유신과 함께 창군한 일본 해군의 흥망성쇄 (2) | 2023.06.07 |
---|---|
[1859. 5. 31] 런던 의사당 시계탑 완공 (2) | 2023.06.02 |
[1931] 아인슈타인과 만난 채플린의 농담 (2) | 2023.05.30 |
[1891. 5. 27] 미국 역사상 유일하게 육-해군 장관급에 오른 새뮤얼 카터 장군 사망 (0) | 2023.05.28 |
[1932] 캐딜락을 타고 와 할렘가 어딘가에서 내리고 있는 흑-백 커플의 모습 (0) | 202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