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오늘의 역사

사진과 함께 살펴보는 세계 속 이야기

반응형

전쟁사/2차세계대전사 131

[1941.2.2.] 진주만 공습을 내다 본 제독

1941년 2월 2일, 미 해군 함대사령관 제임스 리차드슨(James Richardson,1878~1974) 제독이 보직에서 해임됐다. 그는 미 태평양함대를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에서 하와이로 이전하라는 명령에 지속적으로 반대해왔다. 그는 하와이로 함대를 옮길 경우 본토에서 떨어진 원거리 지역에서 자원이 부족한데다 이전으로 전투태세에 영향이 발생해 방어능력에 취약점이 생길 것을 우려했다. 그리고 태평양함대는 불과 10개월 뒤 진주만 공습으로 괴멸적인 타격을 입었다.

[1942. 12. 22] 막내동생의 전사소식을 들은 '히틀러의 최측근' 알베르트 슈페어

1942년 12월 22일, 문 앞에 지친 모습으로 앉아있는 알베르트 슈페어(Albert Speer, 1905~1981). : 독일의 건축가로, 히틀러에게 중용받아 2차세계대전 내내 군수생산부 장관을 지냈다. 만하임의 중산층 집안 출신이며, 성적이 좋았지만 1923년에 발생한 초 인플레이션 사태로 집안 사정이 좋지 않아 카를스루에(Karlsruhe) 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했다. 이후 사정이 좀 나아지면서 뮌헨 기술대학교로 편입했다가 1925년에는 베를린 기술대학교로 옮겼으며, 이 곳에서 건축가 하인리히 테세나우(Heinrich Tessenow) 문하로 들어갔다. 그는 1927년 테세나우의 조교가 되면서 박사과정을 밟았다. 슈페어는 1931년 1월 나치당에 가입 신청서를 냈으며, 1931년 3월 1일자로 수..

[1944. 12. 24] 총살 집행 중인 독일군 침투부대

미군 진영에 침투하던 독일군 첩자들이 총살당하기 직전의 모습. 이들은 1944년 12월 23일, '그리프(Grief)' 작전을 통해 미군 전투복을 입고 미군 진영 후방에 투입되었으며, 공공연하게 연합군 최고사령관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 1890~1969) 원수를 암살할 것이라고 알렸다. 이들은 미군 전투복을 입고 교란행위를 한 혐의로 사형이 언도됐다. 이들을 처형한 근거는 정확하게 말하면 헤이그 협정 내용 중 '지상전에 관한 협약' 부분이다. 23조에 따르면 "이하의 내용은 특히 금지된다(중략)...휴전을 위한 백기, 혹은 적국의 국기나 군사 표식, 군복을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그리프 작전은 발지 대전투 중 독일군이 실행한 비밀 작전으로, 1944년 12..

[1941. 12. 13] 진주만 공습 중 불시착한 일본군 조종사가 일으킨 '니이하우 사건' 발생

1941년 12월 7일, 진주만 공습이 벌어지던 중 일본군 함재기 조종사인 니시가이치 시게노리(西開地 重徳)가 하와이 제도 중 조금 떨어진 섬인 인구 136명의 니이하우 섬에 불시착했다. 아직 진주만 공습 사건을 모르던 현지 주민들은 그를 구조해 치료했으나, 곧 일본군의 기습에 대해 니이하우 주민들도 알게 되었고, 니시가이치 역시 공습 중 추락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목숨이 위험하다고 생각한 니시가이치는 곧 현지 주민 중 일본계 주민을 모아 섬을 장악하려 했으나, 하와이 원주민인 베네하카카 카나헬레가 니시가이치를 제압하려 했다. 니시가이치는 베네하카카를 향해 권총을 세 발이나 쐈지만 이 거구의 하와이 원주민은 쓰러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니시가이치를 잡아 들어 돌벽에 집어던졌다. 그리고 베네하카카의 아내..

[1945. 11. 20] 뉘른베르크 전범재판 시작

1945년 11월 20일,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이 시작됐다. 뉘른베르크 재판은 우선 24명의 고위급 나치 관리를 대상으로 재판을 시작했으며, 전후 전쟁범죄 조사가 진행되면서 대상자가 늘었다. 연합군은 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포로가 된 나치 관리들의 처우를 고민하게 됐으나,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 이견이 나왔다. 스탈린은 사로잡은 나치 장교와 정부관리 대부분을 대규모 처형하기를 원했다. 하지만 영국은 이들 전부에 대한 일괄적 처형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최후에는 미국, 프랑스, 영국, 소련 모두 포로가 된 나치 관리에 대해 재판을 벌인 후 '최악의 인물'들에 대해서만 처형하는데 동의했다. 재판은 국제 군사법원(IMT: International Military Tribunal)에서 처리하기로 했으며, 이 법원은..

[1945. 5. 8] 유럽전선 종전을 축하 중인 '밴드오브브라더스'의 주역들

1945년 5월 8일, 미 제 101 공정사단 506 낙하산연대 2대대 예하 '이지(Easy)' 중대원들이 독일이 항복한 날인 V-E 데이(Victory over Europe Day)에 알프스 바바리아 지방 베르히스가텐(Berchtesgaden)에서 축하 중인 모습. 이들은 5월 5일에 이 곳에 도착했다. 사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리처드 D. 윈터스(Richard D. Winters, 1918~2011) 소령, 루이스 닉슨(Lewis Nixon III, 1918~1995) 대위, 해리 웰시(Harry F. Welsh, 1918~1995) 중위, 토마스 피콕(Thomas A. Peacock, 1920~1948) 중위, 로이드 콕스(Lloyd J. Cox, ?~?) 대위. 디지털 채색 사진.

[1943. 10. 24] 일본군에게 참수당하는 호주 육군 병장

1943년 10월 24일, 뉴기니의 아이타페에서 일본군 장교인 치카오 야스노가 2차세계대전 중 연합군이 오세아니아 일대에서 운용한 연합 정찰부대인 'M 특수부대(M Special Unit)' 소속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하사인 레너드 시플릿(Leonard G. Siffleet, 1916~1943)을 참수하기 직전에 촬영된 사진. 라이프(LIFE) 지에 수록됐던 사진이다. 이 사진은 그와 용모가 비슷하고 비슷한 최후를 맞이한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중위인 빌 뉴튼(Bill Newton)과 자주 혼동된다. 정찰임무를 수행하던 시플릿은 네덜란드 압제에 불만을 갖다가 일본에 합세한 원주민들의 공격을 받고 사로잡혔으며, 이 사진은 문제의 치카오 야스노가 직접 부대 소속 일병에게 촬영시켰다. 이후 1944년 4월, 뉴 홀..

[1944] 뛰어난 훈련가지만 무능한 지휘관이던 '밴드오브브라더스'의 소벨 대위

에서 약간 애매한 빌런(?)으로 등장한 소벨 대위의 이야기. 그의 본명은 허버트 멕스웰 소벨(Herbert Maxwell Sobel)로, 1912년 1월 시카고에서 태어났다. 그는 인디애나 쥬 컬버(Culver) 군사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이후 일리노이 주립대에서 건축을 전공했다. 소벨은 예비군 소위로 임관해 캔자스 주 포트 라일리의 헌병으로 보직됐으나, 곧이어 공정부대가 창설되자 부대를 옮겼다. 그는 토코아(Toccoa)로 가 미제 506 낙하산보병연대(PIR) 예하 '이지(Easy)' 중대에 배속되어 초대 중대장이 되었다. 소벨은 엄격한 훈련가였으며, 부대원들의 규율과 군기를 강하게 잡는 인물로 유명했다. 그는 부하들을 쥐잡듯 잡았지만 부대원의 훈련성과 역시 눈에 띄게 두드러졌으므로 곧 대위로 진급했..

[2000. 8. 11] 2000년에야 발견된 마지막 2차세계대전 전쟁포로

2차 세계대전의 마지막 포로인 안드라쉬 토마(Andras Toma, 1925~2004)가 석방되던 당시의 모습. 그는 2000년에야 석방됐다. 토마는 왕립 헝가리 육군에서 복무했으며, 1945년 1월 11일 소련 붉은군대의 포로가 됐다. 1947년 1월에는 포로수용소에서 소련 내 정신병원으로 이감됐다. 병원으로 이감된 자들은 전쟁포로 명단에서 삭제됐으므로 헝가리 정부는 이후 토마의 존재에 대해 전혀 알 수 없었다. 헝가리 정부는 1954년 토마를 사망자로 처리했다. 근 45년 후인 2000년 8월 11일, 체코의 한 언어학자가 문제의 병원에 방문했다가 토마가 하는 말을 듣고 헝가리어 임을 깨달았다. 토마는 러시아어를 배울 기회가 없었고, 병원 내에 헝가리어를 하는 사람이 하나도 없었기 때문에 그는 지난 ..

[1943. 11. 14] 미 대통령을 암살할 뻔한 미 해군 함정 이야기

- 미국 역사상 1개 함정 승무원 전체가 대통령이 승선한 전함을 공격한 "암살미수 혐의"로 재판을 받은 전대미문의 사건. 1943년 11월 14일, 프랭클린 루즈벨트(Franklin Roosevelt) 미 대통령은 전함 아이오와(USS Iowa, BB-61)함이 함재기 공격을 받을 경우 방어 상태를 점검하고 싶다고 하여 직접 아이오와 함에 승선해 훈련을 실시할 것을 명령했다. 이에 미 해군은 대통령이 탑승한 아이오와를 포함한 총 4척의 전함을 버뮤다 동쪽으로 출항시켰다. 아이오와 함의 선원들은 기상관측용 기구(weather balloon)를 띄워 가상의 대공 표적으로 삼았고, 이를 향해 100발이 넘게 사격을 가했다. 이 때 구축함 윌리엄 D. 포터(William D. Porter, DD-579)함의 함..

반응형